주말알바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주 2일주 3일 근로 주휴수당)

주말알바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주 2일주 3일 근로 주휴수당)

2023년에 주휴수당이 폐지된다는 말이 많았습니다. 그렇다면 주휴수당이 무엇인지, 왜 폐지되는지에 대한 정리가 필요할 거 같아서 준비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2023년 주휴수당 폐지 연관 총정리”입니다. 주휴수당 이란 근로기준법 제 55조에 나와있습니다. “갑은 을에게 1주에 평균 1만남 유급휴가를 보장해야 한다” 즉, 근로자가 유급 주휴일에 받는 수당입니다. 근로자들은 주 5일 근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주말중 1회는 유급휴가를 돕는 제도입니다.

그런 식으로 되면 근로자들은 일주일중 6일을 근무하게 된 월급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주 3일 알바의 주휴수당 수령 가능여부
주 3일 알바의 주휴수당 수령 가능여부

주 3일 알바의 주휴수당 수령 가능여부

👉 주 2일 알바와 동일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나의 1일 근무시간이 계약서 상으로 7시간으로 규정된 경우, 3일 근무시간은 총 21시간으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가 됩니다. 1일 근무시간이 5시간으로 규정된 경우에도 3일 근무시간은 총 15시간으로, 이 경우에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요일이나 일수에 연관 없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요구사항 근무시간은 주당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파악 아닌지의 여부이고, 계약한대로 근무를 했다면 차질없이 주휴수당 지급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연차유급휴가
연차유급휴가

연차유급휴가

연차유급휴가란 1년 내에 사용할 수 있는 휴가의 개수입니다. 줄여서 연차라고도 말합니다. 연차는 근로 법규에 따라 정당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가로 휴일을 사용한다고 해서 월급에서 차감되지 않습니다. 연차는 근로자의 근무기간에 따라 발생조건이 다른데, 연차 발생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근로 법규에 따라 1년간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15일의 유급휴가가,총 근로 기간이 1년 미만인 근로자이거나, 1년간 80% 미만의 기간동안 출근한 근로자에게는 1개월 만근시 1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총 근무한 기간이 1년 이상가주인 근로자에게는 매번 15개의 연차가 생긴다고 보면 되고, 총 근무한 기간이 1년 미만일 경우 당해 최대 11개의 연차가 생긴다고 보면 됩니다.

주휴수당 계산방법

계산법은 어렵지 않아서 간단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 근로자 A가 하루에 8시간씩 일주일에 5일을 규칙적으로 근무하였을 때는 주휴수당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시급은 2023년 최저시급으로 계산한 액수입니다. 위의 계산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규칙적으로 근로는 한 경우이며, 만약 한 달을 기준으로 근로시간이 한 주는 15시간 미만, 한 주는 20시간 이상 일한 경우와 같이 불규칙적으로 일을 한 경우는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을까요? 답을 받을 수 있다입니다.

위에 말한 3가지 조건만 충족하면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근속연수에 따른 가산연차

회사에서 1년 이상 3년 이하 근속한 근로자는 매해 15개의 연차가 발생합니다. 이후 회사에서 매번 근속하면 기본휴가 기간에 가산연차가 발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차가 늘어납니다. 근로기간이 3년 이상가주인 4년차 근로자부터는 가산연차가 적용되어 추가로 휴일을 1일 더 받아서 16개의 연차가 생깁니다. 근로기간이 3년 이상가주인 직원은 근속연수가 2년이 증가하다 때마다. 연차가 1개씩 더해집니다. 근속연수에 따라 생겨나는 가산휴일을 더한 연차개수는 아래와 같이 점점 늘어납니다.

주휴수당 폐지

미노연에서 미래지향적 노동법제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정부에 주휴수당 폐지를 권고했습니다. 노동법제안 의견으로는 “”주휴수당”은 근무시간 산정을 복잡하게 하고, 15시간 미만의 쪼개기 계약사항을 유인하는 원인이 됨”으로 폐지를 권고하였습니다. 미노연의 권고는 정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아니지만 주휴수당 폐지안과 관련된 법은 개정이 요구되는 사안이라서 국회 갑론을박 과정이 필요합니다.

주휴수당이 폐지되면 임금은 얼마가 될까?

현재 2023년의 주휴수당 포함한 월급은 2,010,580원 입니다. 여기서 주휴수당을 계산하는 하루치 근무시간을 한달로 계산하면 약 35시간입니다. 2,010,580원 – (35시간 X 최저시급) = 1,673,880원으로 약 34만원이 깍이게 됩니다.

매번 묻는 질문

주 3일 알바의 주휴수당 수령

주 2일 알바와 동일하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나의 1일 근무시간이 계약서 상으로 7시간으로 규정된 경우, 3일 근무시간은 총 21시간으로,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대상자가 됩니다. 궁금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차유급휴가

연차유급휴가란 1년 내에 사용할 수 있는 휴가의 개수입니다. 좀 더 구체적인 사항은 본문을 참고해 주세요.

주휴수당 계산방법

계산법은 어렵지 않아서 간단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Leave a Comment